핸들 뒤에 있는 페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글입니다. 운전을 많이 하는 사람도 핸들 뒤에 있는 철제 레버(?)가 왜있는지 무슨 용도인지 정확히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 역시도 이게 있는지도 몰랐고 오늘보니 있어서 이건 뭐하는데 있는건지 써보니 생각보다 괜찮더라고요. 운전하는데에 필수는 아니겠지만, 아마 운전하는 습관이나 자동차에 분명 도움이 될 것 같았습니다.
이걸 패들 시프트라고 부릅니다. 패들 시프트 활용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핸들 뒤에 있는 페달(패들 시프트) 사용 방법
패들 시프트는 수동 기어를 핸들로 옮겨 놓은 거라고 보면 됩니다.
조작법은 왼쪽의 -는 기어 단수를 내리고 / 오른쪽의 +는 기어 단수를 올립니다.
그리고 다시 수동 조작을 원하지 않으면 +를 3초 정도 당기면 원해 오토 주행으로 돌아옵니다.
1종 보통을 땄지만,,, 수동 운전하는 방법은 다까먹었는데요. 까먹어도 활용하는데에 전혀 상관없습니다. 패달로 아주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었고 기어를 변속할 때 눌러야 했던 클러치도 없습니다.
그렇기에 주행 중에 기어를 변속하는 경우는 간단하게 몇 몇 상황을 예로 들 수가 있는데요.
가파른길, 내리막길 등에서 활용하면 좋습니다. 일반 주행시에도 본인 마음껏 활용하여 연비를 높이는데도 좋습니다.
오르막 길 활용 방법
오르막길 힘이 부족하다고 느낄 때 기어 단수를 낮춰서 RPM을 올리면 힘이 좋아서 올라가는 데에 편합니다.
요즘 차가 잘 나와서 힘딸리는 느낌이 잘 없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가파른 곳 같은 구간은 오르막올라갈 때 힘을 받는데에 확실히 좋습니다.
RPM에 대해 간단히 이해를 해보면 기어 단수를 내려거 RPM을 올리면 치고 올라가는 힘이 좋아지집니다.
반대로 단수를 올려서 RPM을 낮추면 주행성이 좋고 연비가 좋습니다.
내리막길 활용방법
내리막길이 가파른 곳 특히나 눈길, 얼음 많은 곳에서는 급브레이크를 밟아야 하는 곳에서 여러번 나눠서 -로 기어 단수를 낮춰주면(엔진 브레이크) 안정감 있게 내리막을 내려갈 수 있습니다.
일반 주행시 활용방법
일반 주행시에 기어 단수 조작을 통해 본인이 RPM을 원하는 정도로 유지하여 연비 관리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차량 강판 녹슬음. 산화를 방지하는 방법
자동차 강판은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산화(녹슬어 버리는 현상)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강판 산화가 심하면 외관이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강판 산화 방지에는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
betagonia.tistory.com
엔진 오일 교환 주기와 종류
엔진 오일은 엔진 내부 부품에 직접 작용하여 차량의 안전성과 수명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적절한 오일을 사용하면 엔진 오일 교환 주기를 따르며 엔진을 윤활하는 데 필요
betagonia.tistory.com
'유용한 정보 > 교통과 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쿨존이 20km로 바뀌는 이유 (0) | 2024.03.15 |
---|---|
자동차 앞유리 성에 제거하는 방법 (2) | 2024.03.12 |
보복운전과 난폭운전의 차이 (0) | 2024.03.11 |
지하철 금지행위 벌금/과태료 규정 (0) | 2024.03.10 |
버스 승차거부 / 승객이 지켜야할 금지사항 (0) | 2024.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