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 과속 단속 알아둘만한 상식
신호 과속 단속 구간을 지나가다 보면 가끔 궁금하게 여겨지는 점들에 대해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황색불과 관련된 규정. 속도 위반은 어디까지 인정되는지. 빨간불로 변경된 후 1초간은 괜찮다... 등등 몇 가지 애매한 부분들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 보겠습니다. 참고하시어 안전 운전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황색불에서 지나가면?
주황색 불에서 진입 시에는 단속되지 않는다
교차로를 지나갈 때 애매하게 신호가 바뀌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렇게 속도를 줄이기에는 애매한 구간을 소위 '딜레마 존'이라고 불립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황색불에서 이미 진입한 경우에는 단속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신호 단속 기준은 보통 2회에 걸쳐서 측정을 하는데요. 첫 번째로 교차로에 진입 시에 센서에 포착되고 이후 2~30M 뒤에 다음 구간에서 포착되어 신호 단속에 걸리게 됩니다.
즉, 첫 번째 루프 센서 구간을 주황색 등에서 지나가게 된 경우에는 신호 단속에는 잡히지 않습니다. 황색불에 진입을 했다면 과속하지 않는 한에서 서둘러 교차로를 벗어나도록 합니다.
만일 첫 번째 센서 구간을 적색일 때 진입을 했다면 단속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일단정지해야 합니다. 이후 두 번째 센서에서 포착이 되지 않았다면 신호 단속으로 잡히지 않기 때문에 적색등에 진입을 했다면 멈춰야 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이야기가 있는데요. 빨간불로 변한 후 1초간은 괜찮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는 잘못된 이야기이며 지자체마다 다를 수는 있지만 적색불로 변경된 후 진입해서 처음 센서에서 걸리게 되면 신호 위반 단속 대상이 됩니다.
과속은 10km 까지는 괜찮다?
과속허용구간은 있다.
과속 단속에서 +10% 혹은 +10km 까지는 상관이 없다는 이야기가 있는데요. 완전히 맞는 말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맞는 말이기도 합니다. 속도를 측정하는 데에 있어서 과속허용구간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속도 구간에 대해 여러 이야기가 있는 이유는 실제로 존재하는 과속허용구간이 정확하게 알려지게 되면 이를 악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기 때문에 보안상의 이유로 공개되어있지 않은 정보라서 그런 것인데요. 만일 공개가 되어버린다면 50km라고 적혀있더라도 실제 허용구간까지는 속도를 낼 사람들이 많아지기 때문이죠.
속도를 약간은 넘는 것은 허용해주는 이유는 자동차마다 혹은 내비게이션 환경에 따라 약간씩의 오차를 보이기 때문에 너무 딱 잘라 단속을 하게 되면 민원이 너무 많아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과속허용구간의 존재에 대해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과속은 1km도 하지 않는 게 맞습니다. 다만, 약간 초과해서 지나갔다고 해서 날아오지도 않을 고지서 때문에 스트레스받을 일은 없도록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좌회전 우회전은 단속되지 않는다?
적신호시 우회전 금지 표지판 조심
이 말도 어느 정도 사실입니다. 좌회전, 우회전의 경우에는 센서에 걸리지 않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하지만 적신호시 우회전 금지인 구간 혹은 신호등에 우회전등이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에 적발이 되는 사례도 있습니다.
실제로도 운행을 하면서도 우회전 좌회전 시에 단속되어 과태료를 납부한 적은 없습니다. 다만, 무인단속이 아닌 경찰관에게 그 자리에서 적발이 되거나 혹은 영상신고를 통해 신고가 된 경우에는 단속에 걸리게 됩니다.
우회전시 신호체계에 대해 아직도 헷갈리는 분들이 있는데요. 우회전은 일반적으로 생각해서
우회전하기 전에 보행 신호가 초록불인 경우에는 멈추고 신호가 바뀌기를 기다리면 됩니다.
우회전한 이후 만나는 횡단보도에서는 일단 멈추고 보행자가 있는 경우에는 기다리고 보행자가 없는 경우에는 서행해서 지나가면 됩니다.
만일 단속되었는지 애매한 경우 우편이 날아오기 전에 미리 확인을 할 수 있는 사이트도 있습니다. 경찰청 교통민원 24를 방문하시어 미리 조회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www.efine.go.kr
운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이런 애매한 기준이 궁금할 것 없도록 항상 규정 속도, 신호는 지키는 안전 운전을 생활화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대리 운전 범칙금 지불 _ 대리 운전 교통사고
대리 기사를 불러서 믿고 맡겼는데 어느 날 갑자기 신호 과속 단속 위반 범칙금 통지서가 날아오는 경험이 있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혹은 나아가 사고가 나는 경우도 있는데요. 술을 마시면 꼭
betagonia.tistory.com
'알아두면 도움 되는 > 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입신고 온라인으로 하는 방법 (0) | 2023.01.25 |
---|---|
음주운전 혈중알코올 농도별 처벌 기준 (0) | 2022.12.31 |
서울시 자전거 보관소 이용 방법 _ 보관소 위치 (0) | 2022.12.24 |
사설 렉카 알야둬야할 상식 (0) | 2022.12.01 |
범칙금 과태료 차이점 (0) | 2022.11.08 |
댓글